천체 촬영은 단순히 사진만 찍는다고 되는게 아니라 전처리 후처리 등 보정작업을 해야 비로소 천체사진 한장이 만들어집니다.
여기에는 여러 단계가 있고 촬영 이미지도 단순히 찍는게 아니라
라이트 이미지 촬영
다크 이미지 촬영
플랫 이미지 촬영
바이아스 이미지 촬영 (요즘은 그냥 생략해도 될듯...)
정도의 촬영이미지가 필요합니다.
라이트 이미지는 말 그대로 촬영이미지 이고
다크 이미지는 망원경 앞에 커버를 씌워 라이트 이미지와 같은 촬영 온도로 검은 화면을 촬영하는 겁니다.
다크 이미지를 촬영하는 이유는 핫픽셀 및 노이즈를 제거 하기 위함 입니다.
꼭 라이트 이미지와 촬영시의 온도를 똑같이 맞추고 찍어야 하기에 현장에서 찍거나 쿨링이 가능한 냉각 카메라 라면 미리 촬영 온도로 다크 이미지를 만들어 두기도 합니다.
플랫 이미지는 라이트 촬영시 발생하는 비넷 과 먼지등 노이즈 외에 불필요한 이미지를 제거 하고 전체 이미지를 균일한 밝기 로 보정하기 위한 말그래도 플랫한 이미지 촬영을 위한 보정 데이터 입니다.
플랫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해서는 망원경 앞에 조명을 설치하고 ADU 값을 대충 40~50% 정도 나오는 셔속으로 촬영을 하게 되는데 빛이 너무 밝거나 어두우면 셔속으로 맞추기가 좀 귀찮습니다. 적정한 밝기 에 적당한 셔속을 맞춰야 하는건 모든 촬영을 끝내고 마지막에 플랫 촬영을 해야 하는데 체력적으로 스트레스가 아닐 수 없습니다. -_-
플랫 이미지는 망원경과 카메라의 화각을 플랫 이미지와 일치해야 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촬영하는게 제일 좋습니다.
망원경과 카메라를 분리하지 않고 화각을 유지한채로 집에와서 촬영해도 되긴 합니다만..
그리고 옛날엔 따로 플랫 조명이라는게 없어서 천문박명이 시작되는 새벽에 밝은 하늘로 망원경을 향하게 하고 백색천 등으로 망원경을 덮어서 촬영하거나 노트북 화면을 흰색으로 만든후 망원경 앞에 올려놓고 촬영을 했다고 합니다...
그에 비하면 요즘은 플랫 패널이라는 기성품으로 조명이 나오고 있으니 많이 편해졌지요.
하지만 아직도 밝기 조정은 디머를 이용하거나 그냥 셔속으로만 조정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디머보다 밝기 조절이 편하고 나아가 밝기 값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되면 좀 편하지 않을까 싶어서
아두이노를 이용해 조명 밝기를 조절하고 값을 저장 하는 간단한 하드웨어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이름도 플랫 어시스트 로 지었지요 ㅎㅎ -_-
최종 완성본 입니다.
최대한 심플하고 작게 만들었고 케이스는 3D프린트로 제작 했습니다.
아두이노 나노를 이용했으며 PCB는 직접 제작 했고 0.91" OLED 디스플레이를 장착했습니다.
대충 설명은 유튜브로
https://www.youtube.com/watch?v=Ih9wnSYqq4Q
그리고 만드는 김에 단독 사용도 가능하지만
PC로도 제어가 가능하도록 윈도우 앱도 만들고 천체사진촬영용 프로그램인 N.I.N.A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ASCOM Faltform 도 지원하도록 ASCOM Driver도 개발했네요 =_=
다른건 별로 어려운게 없었는데...ASCOM 드라이버 개발이 제일 힘들었네요...메뉴얼이 좀 불친절해서 많이 헤멨죠..
그래도 어찌저찌 결국 만들긴 했는데 좀 아쉬운 부분도 있지만...처음 프로그램 개발이라는것을 해봐서
재밌었네요 ㅎㅎㅎ
https://www.red-whale.co.kr/general-6-1
flatassist | REDWHALE DesignWorks
5V 플랫 패널 사용시 12V 입력을 절대 하지 마세요. LED가 파손됩니다. Flat Assist 는 윈도우 앱과 ASCOM 플랫폼을 지원 합니다. USB 연결후 장치 관리자에 COM 포트가 인식되지 않을때는 CH340 USB 드라
www.red-whale.co.kr
제품 홈페이지 ~ 간단한 제품 설명과 사양등을 정리해놨어요.
이거 만들면서 배운것들...
윈도우 앱과 ASCOM 드라이버 개발을 위한 비주얼 스튜디오 C# 언어
아두이노 코딩을 위한 C++ 언어
LED 밝기를 제어하는 하드웨어적인 부분들...
즐거운 시간 이었습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