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ntax105sdp
NGC7380 위자드성운
2018. 7. 22.오랜만에 장비들고 나가보았습니다. 더운 한여름에 1000미터쯤되는 산정상은 시원할줄 알았는데... 덥긴 마찬가지네요 연무도 심하고...습도도 높아서 장비는 꺼내자 마자 다 젖어버리고....ㅠㅠ 이래저래 여름도 사진찍기 좋은 계절은 아니에요...그냥 춥기만한 겨울이 역시 좋을지도.... 이번에 찍은 대상은 NGC 7380 WIZAD NEBULA 입니다. 마법사성운인가? -- 음..모양으로 봐서는 왜 저런이름인지 모르겠습니다만...어쨋든 그렇다니까 그냥 그러려니 합니다. 카시오페아 근처에 있는 성운인데 크기가 좀 작네요. 협대혁 영역으로 허블파렛트 색구성으로 합성하였습니다. 그냥 RGB 색상은 붉게만 나오고 별로 이쁘지가 않은거 같아서...협대혁필터가 먹히는 대상은 SHO 허블파렛트 색조합으로 합성하고 있습..
IC 1805 하트성운 네로밴드 촬영
2017. 10. 23.IC 1805 하트성운Heart Nebula 하트모양처럼 생겨서 하트성운이라는 이름의 성운화각이 좁아서...하트모양전체가 다 안들어오지만...대충 하트모양이 보이긴하는수준..;;; - 촬영 일시 : 20171021 - 촬영 장소 : 광덕산- 망원경(경통) : PENTAX 105SDP - 가대(삼각대) : AZ EQ6 GT- 카메라(CCD) : ASI 1600MM, asi 120mm 비축가이드- 촬영 노출 : HA 600s x 7. O3 600s x 7, S2 600s x 7, no DARK, no FLAT, pixinsight 전처리 포토샵 보정 이걸찍은뒤에 불꽂성운을 찍으려고 했지만......촬영셋팅해놓고 차에서 자다 나왔더니 노트북이 강품에 날아가서 땅바닥에 뒹굴고 있던.....--;; 결국 이번주말..
M31 안드로메다 은하 RGB촬영
2017. 10. 23.예전에 a7s로 찍었던 안드로메다은하를 이번엔 모노ccd로 RGB촬영해봤습니다. 결과적으로는 노출을 너무 많이 줘서 너무 밝게나왔네요...안그래도 모노ccd라 감도도 좋은데...다음엔 노출을 줄이고 스택장수를 늘리는 쪽으로 찍어봐야겠네요. - 촬영 일시 : 20171020- 촬영 장소 : 광덕산- 망원경(경통) : PENTAX 105SDP - 가대(삼각대) : AZ EQ6 GT- 카메라(CCD) : ASI 1600MM, asi 120mm 비축가이드- 촬영 노출 : L 600s x 8. R 600s x 10, G 600s x 8,B 600s x 8, no DARK, no FLAT, pixinsight 전처리 포토샵 보정
ngc2246 장미성운 네로밴드촬영
2017. 10. 23.NGC2246 장미성운Rosette Nebula 네로우밴드 이미지 네로우밴드 이미지에서 녹색을 조금 빼고 핑크빛이 나도록 보정해본 버전 - 촬영 일시 : 20171020 - 촬영 장소 : 광덕산- 망원경(경통) : PENTAX 105SDP - 가대(삼각대) : AZ EQ6 GT- 카메라(CCD) : ASI 1600MM, asi 120mm 비축가이드- 촬영 노출 : HA 600s x 10. O3 600s x 10, S2 600s x 10, no DARK, no FLAT, pixinsight 전처리 포토샵 보정 오랜만에 날씨도 좋은 주말에 나가서 찍어온 천체사진이네요. 화각이 아슬아슬한게 조금 아쉽....초점거리가 조금만 짧았으면 좋겠는데...내 망원경에 맞는 리듀서는 구하기가 너무 어렵다...ㅠ_ㅠ
NGC281 팩맨성운
2017. 9. 17.조경철천문대에서 찍어온 팩맨성운! 처음찍어본 네로밴드사진이네요. 네로밴드로는 독수리성운에 이어 두번째 사진이네요. 다음엔 이제 겨울이니까 장미성운을 찍어봐야겠습니다. 원래 8시간을 찍으려고 했는데...2시간분량이 날아가버려서 6시간분량만 합성하였네요전처리를 안하고 그냥 날것으로 합성해버 이미지가 거칠거칠한게 좀 아쉽지만...색은 잘나온거 같아서 만족스럽네요 - 촬영 일시 : 17.09.15 - 촬영 장소 : 조경철천문대- 망원경(경통) : PENTAX105SDP - 가대(삼각대) : AZ EQ6 GT- 카메라(CCD) : ZWO ASI 1600MM- 촬영 노출 : Ha 600s x 12, O3 600s x 12, S2 600s x 12 total 6h 픽스인사이트, 포토샵보정 다음주 그믐엔 날씨가 좋으려..
NGC 7635 버블성운 데스트
2017. 6. 18.NGC 7635 버블성운입니다. 다음주가 그믐인데...날씨가 안좋을거같아서 그냥 1시반이면 달이 뜨지만...이번에 안나가면 다음달까지아니..8월까지 사진찍을일이 없을거같아서 나가봤네요. 음...시상은 좋았으나..대기 투명도가 너무 안좋아서 ㅠ_ㅠ 사진은 그냥 찍혔다는데에 의의를 둬야겠네요 =_= 다만 시상은 좋아서 안시관측으로 본 토성은 정말 이쁘고 좋았네요 카시니간극도 선명하게 보이는 날이 정말 없는데.. 이날은 아주 샤프하게 딱 보이는게 정말 좋았던 하늘이었습니다. 시상만..... - 촬영 일시 : 170618 - 촬영 장소 : 광덕산- 망원경(경통) : PENTAX 105SDP - 가대(삼각대) : AZ EQ6 GT- 카메라(CCD) : ZWO ASI 1600MM, ASI 120mm가이드- 촬영 노..
m16 독수리 성운 네로우밴드
2017. 6. 4.허블이미지 중에 가장 유명하다고 할지...창조의 기둥으로 유명한 독수리 성운입니다. 독수리가 날개를 펼치고 있는 모습이라 독수리 성운이라고 하는데 네로우밴드로 촬영할때 화려함때문에 여름에 많이찍는 대상이기도 합니다. 보통 네로우밴드 촬영은 4시간 이상 보통 8시간정도 촬영을 해야 디테일과 색감이 보정하기가 좀 수월합니다. M16 독수리 성운8시간 촬영분 6월 그믐때는 추가로 또 찍어서 테이터를 좀더 추가해보고 싶네요.. 관측지 예절관측지의 정의일반적인 등산로등의 입구나 공영주차장등 일반에 많이알려지고유동인구가 많은 관광지등은 사실 아래의 사항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원래 별만보러오는 곳도 아니거니와 목적이 각기 다른 많은 분들이 찾는 장소는 관측지라고 하지 않습니다.따라서 아래에 해당하는 관측지라는 곳은*..
북아메리카성운 네로우밴드
2017. 6. 4.천체사진은 후보정이 반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특히나 일반 DSLR 이 아닌 천체사진용 모노 냉각 카메라를 쓰게되면 사진을 필터로 RGB를 채널별로 찍어서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합성하고 보정하게 됩니다. 그런 방법중에 네로우밴드라는 채널합성방식은 허블망원경의 이미지 처리 방식으로 처리를 하는것을 의미합니다. Ha(붉은색) S2(녹색) O3(파랑색) 영역을 채널별로 촬영해서R-S2, G-Ha, B-O3로 대체하여 합성하여서 흔히 SHO 합성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Ha 필터로 300s 15장 촬영분기본적으로 모노카메라이기때문에 모든 이미지는 흑백으로만 찍힙니다. RGB 채널에 Ha, S2, O3 로 일반적인 RGB 채널합성으로 했을때의 사진일반 DSLR로 찍으면 이렇게 나옵니다. 디테일은 좀 차이가 나지만요 ..
수피령고개에서 찍은 딥스카이
2015. 9. 20.저번주에는 아홉싸리대..이번주는 아마 이번달 마지막 월령이라 생각돼서 수피령으로 나가봤습니다. 수피령 정상바로 아래에 위치한 관측지는 사방이 나무로 둘러쌓여있어서 아늑한 느낌도 들지만 진짜 아무것도 안보여서 -_-혼자있으면 좀 무서울듯합니다. ㅎㅎㅎㅎㅎ 가끔 멧돼지도 출몰한다고 --;;; 이번에 촬영엔 역시 사고가 하나 있었습니다. 가이드를 하는 태블릿 pc의 전원케이블이 절단 -_- 아놔....덕분에 가이드는 쓰잘데기없는 안드로메다 Ha찍는데 날려버리고...그나마 베일성운은 가이드로 찍고 나머지는 60초로 찍었네요..뭐 그래도 그냥저냥..아쉽진 않은 퀄리티가 나와서...좋긴한데 그래도 가이드를 했으면 더 좋았을거같네요...노출을 더 줄수 있었는데...;겨울철 하늘의 보석같은 플레이아데스 입니다. 맨눈으..
천체사진 장비 업그래이드
2015. 8. 23.어느 취미나 그렇지만 결국에는 끝까지 가게 되는데 -_- 남자가 하지 말아야하는 3대취미에 괜히 시계, 자동차, 오디오가 있는게 아니다....이 3대 취미에 비한다면야... 사진은 참 저렴한? -_- 취미이기도 하다...최소한 사진찍는다고 어디 땅을 사거나 집을 짓거나 하지는 않잖아?? -_-;; 낚시도 하이엔드로 가면 나중엔 요트타고 바다낚시로 귀결된다고 하는 우스개소리가 있는데 ㅎㅎㅎㅎ 사진은 일반 카메라 - 풀프레임 카메라 - 중형스튜디오 정도가 끝일까...뭐 그중에서 풍경사진, 조류사진, 스포츠사진 등등 장르가 많지만 역시 최종으로 갈수록 렌즈가 비싸진다. 그리고 사진에서 천체사진으로 가게되면 이게 금액적으로.. 최소 오디오급으로 올라가게 된다 별자리랑 은하수를 찍으러 다니다가 좀더 깊숙히 들어가..